
쉐이빙폼, 헤어 스프레이, 부탄가스 캔, 심지어 컴퓨터 먼지 제거제까지! 일상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제품을 보면 한쪽에 ‘KC 마크’와 함께 이상한 글자가 적힌 스티커가 붙어 있는 걸 볼 수 있습니다.
"이게 뭘까?" 하고 궁금했던 적 있으신가요? 🧐
오늘은 바로 한국가스안전공사(KGS)의 인증 마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특히 ‘접합’, ‘삼나’ 같은 표시는 무엇을 뜻하는지, 그리고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제품에는 어떤 가스 용기 코드가 적용되는지 속 시원하게 정리해 드릴게요.
한국가스안전공사(KGS) 인증 마크란?
가연성 가스를 포함한 제품은 폭발 위험이 있기 때문에 국가의 안전 검사를 반드시 통과해야 합니다.
한국가스안전공사(KGS)는 국내 가스 제품의 안전을 관리하는 기관으로, 일정 기준을 충족한 제품에 KC 인증 마크를 부여합니다. 이 마크가 있는 제품은 정부의 안전 검사를 통과한 공식 인증 제품이므로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접합’과 ‘삼나’, 무슨 뜻일까?
🙋♂️ Q: 가스 캔에 적혀 있는 ‘접합’은 뭐죠?
👉 A: 접합(Seamed)은 용기의 몸체와 바닥이 따로 제작되어 접합된 방식이라는 뜻입니다.
🙋♀️ Q: ‘삼나’라는 표시는 뭐예요?
👉 A: 한국가스안전공사가 제품을 분류하는 코드입니다. '삼나'는 일반 부탄가스 용기에 부여되는 코드입니다.
즉, 우리가 흔히 캠핑이나 휴대용 버너에서 사용하는 부탄가스 캔은 대부분 ‘접합’ 방식으로 만들어졌으며, ‘삼나’ 코드가 붙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런 마크가 캠핑용 가스에서만 쓰이는 건 아닙니다. 😲
가스 용기, 캠핑용만 있는 게 아니다?
혹시 여러분이 사용하는 쉐이빙폼, 헤어 스프레이, 에어컨 클리너, 방향제 스프레이 같은 제품에서도 이 마크를 본 적 있나요? 🤔
그렇습니다! 이 마크는 단순히 부탄가스 캔이나 캠핑용 가스버너에서만 볼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 일상에서 흔히 사용하는 다양한 에어로졸(Aerosol) 제품에도 가연성 가스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한국가스안전공사의 인증을 받아야 합니다.
어떤 제품에 이 마크가 있을까?
🔹 쉐이빙폼 – 부드러운 폼을 뿜어내기 위해 가스가 포함됨
🔹 헤어 스프레이 – 분사력을 높이기 위해 가연성 가스를 사용
🔹 방향제 스프레이 – 향을 멀리 퍼뜨리기 위해 가스를 이용
🔹 에어컨·컴퓨터 클리너 – 고압 가스를 사용해 먼지를 제거
이처럼 ‘에어로졸 제품’에는 일정량의 가스가 포함되어 있어, KC 인증 마크가 있는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스 용기의 제조 방식, 어떤 것들이 있을까?
가스 용기의 안전성과 내구성은 제조 방식에 따라 달라집니다. 주로 ‘접합(Seamed)’과 ‘비접합(Seamless)’ 방식으로 나뉘며, 각각의 특징이 다릅니다.
아래 표에서 다양한 가스 용기 제조 방식을 정리했습니다.
제조 방식 | 설명 | 장점 | 단점 |
접합(Seamed) | 용기의 몸체와 바닥이 따로 제작되어 접합된 방식 | 제조 비용이 저렴, 대량 생산 가능 | 접합 부위에서 가스 누출 가능성이 있음 |
비접합(Seamless) | 한 덩어리의 금속을 성형하여 용기를 제작 | 높은 내구성, 가스 누출 위험 적음 | 제조 비용이 높음 |
용접(Welded) | 용기의 일부를 용접하여 제작 | 강도가 높고 다양한 형태 제작 가능 | 용접 부위가 약해질 가능성 있음 |
압출(Extruded) | 금속을 높은 압력으로 압출하여 제작 | 기밀성이 뛰어나고 안전성 높음 | 고압 가스를 위한 용기에만 주로 사용 |
🔹 우리가 일상에서 가장 많이 접하는 부탄가스 캔은 ‘접합(Seamed)’ 방식이며, 산업용 가스 용기는 ‘비접합(Seamless)’ 방식이 많습니다. 각 제조 방식에 따라 용기의 용도와 특성이 달라지므로, 사용 목적에 맞는 용기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스 용기 코드 한눈에 보기!
가스 용기는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코드와 제조 방식이 적용됩니다. 아래 표를 참고하세요!
코드 | 제품 종류 | 설명 |
삼나 | 부탄가스 용기 | 휴대용 가스 버너용 일반 부탄가스 |
삼다 | 이소부탄가스 용기 | 캠핑·등산용 고급 연료 |
사가 | 산업용 고압가스 용기 | 산소, 질소, 아르곤 등 고압가스 |
오라 | LPG 용기 | 차량용·가정용 LPG 가스통 |
육마 | 소형 고압가스 용기 | 다목적 소형 실린더 |
이처럼 용도와 안전 기준에 따라 각각 다른 코드가 부여되며, 우리가 일상에서 접하는 가스 제품이 어떤 기준을 통과했는지 쉽게 알 수 있습니다.
가스 제품 구매 시 주의해야 할 점
✅ 반드시 KC 마크를 확인하세요! (미인증 제품은 폭발 위험)
✅ 제품에 적힌 코드와 제조 방식을 체크하세요.
✅ 직사광선을 피하고, 화기 근처에 보관하지 마세요.
안전한 가스 사용으로 사고를 예방합시다!

'알쓸신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튜브 구독자 1억 명을 돌파한 아동 채널 TOP 3 (2025년 기준 YouTube Kids) (4) | 2025.03.20 |
---|---|
왜 입으로 숨 쉬지 말라고 할까? 구강건조증 때문만이 아니라고? (2) | 2025.03.19 |
밀가루, 흰쌀밥, 정제 탄수화물, 정말 백해무익일까? (4) | 2025.03.17 |
도대체 환기를 안 해서 400만 명이 죽는다고? 실내 공기의 진실과 해결책 (3) | 2025.03.14 |
프로토타입 전에 프리토타입? 우리는 프로토타입만 알았다! (6) | 2025.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