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쓸신잡

눈 대신 귀로 세상을 본다! 시각장애인의 초능력? 뇌가 만들어낸 기적 같은 소리 지도

by 냉정한 망치 2025. 1. 14.
반응형

 

맹인 음파 자전거 썸네일
눈이 보이지 않는데 자전거를 탈 수 있는 이유에 대해 알아봅시다.


현대 과학은 우리의 뇌가 가진 놀라운 잠재력을 끊임없이 밝혀내고 있습니다. 특히 뇌가소성(Neuroplasticity)은 신경 과학의 핵심 개념으로, 우리의 뇌가 환경적 변화에 적응하고 새로운 기술을 학습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얼마전 유튜브에서 눈이 보이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음파를 이용해 자전거를 타는 '다니엘 키쉬(Daniel Kish)'라는 사람을 알게 되었죠. 이는 뇌가소성의 놀라운 사례 중 하나로, 시각 대신 음파를 통해 주변 환경을 '보는' 능력을 보여줍니다.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에서 '리신'이라는 캐릭터는 맹인이지만 자신의 청각과 감각을 통해 싸웁니다. 이 사례는 마치 리신이 현실에 나타난 것처럼 느껴질 만큼 놀라운 유사성을 보여줍니다. 비록 게임 속 케릭터와 직접적인 비교를 할 수는 없지만, 이 사례는 뇌가 가진 무한한 가능성을 실제로 보여주는 생생한 예입니다.

 

급하신 분들은 57초부터 보세요. 출처 : Youtube, Shorts: Daniel Kish's echolocation in action @PopTech

1. 뇌가소성이란 무엇인가?

뇌가소성은 우리의 뇌가 환경적 자극에 반응하여 스스로 변형되고 재구성되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이는 학습, 기억, 그리고 상처 회복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신경 전달 물질인 아세틸콜린(Acetylcholine)은 이러한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신경 세포 간의 연결을 강화하거나 새로운 연결을 형성하도록 돕습니다.

2. 박쥐와 유사한 방식으로 자전거 타기

영상에서 키쉬는 자전거에서 '딸깍' 소리를 내고 그 소리가 주변 환경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것을 통해 공간을 인식합니다. 이는 박쥐의 에코로케이션(Echolocation)과 유사한 방식입니다. 키쉬의 뇌는 시각 정보가 부족한 대신 음파 반사를 통해 공간 데이터를 처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전거를 타는 능력을 보여줍니다.

이 과정에서 뇌의 청각 피질은 단순히 소리를 듣는 것을 넘어, 반사된 음파를 통해 주변 환경의 형태와 거리를 '보는' 역할까지 수행하게 됩니다. 이는 청각 정보를 공간 정보로 변환하는 뇌의 능력, 즉 뇌가소성의 극적인 사례를 보여줍니다.

 

박쥐
bat @pixabay

3. 뇌가소성이 만들어낸 새로운 감각의 가능성

이 사례는 한 개인의 특별한 신체적 적응 능력을 통해 뇌가소성이 인간의 가능성을 어떻게 확장할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다니엘 키쉬는 소리의 반향을 이용해 주변 환경을 인지하는 독특한 방법을 개발하며, 시각 대신 청각을 활용해 자전거를 타는 놀라운 능력을 선보였습니다. 이는 인간의 뇌가 환경에 적응하며 새로운 감각 체계를 형성할 수 있음을 증명하는 사례로, 뇌과학 연구 및 신경 재활에 중요한 영감을 제공합니다.


마치며

Daniel Kish가 보여준 놀라운 사례는 뇌가소성과 인간의 적응력을 다시금 생각하게 만듭니다. 시각을 잃어도 뇌는 새로운 방식으로 세상을 이해하고 조작할 수 있다는 사실은, 우리 모두에게 희망과 가능성을 선사합니다. 뇌가소성과 음파 기술을 활용한 이러한 혁신적인 사례가 더욱 널리 알려져, 과학과 기술이 인간의 삶에 가져올 긍정적인 영향을 기대해 봅니다.

728x90
반응형